[60][충남 태안] 소원 쌀 생막걸리 [충남 태안] 소원 쌀 생막걸리 부드러운 목넘김과 단맛보다는 약간 강한 드라이한 맛. 옛날 막걸리 느낌 종류: 생탁주 생산지역: 충남 태안군 제조사: 태안소원근홍합동양조장 원재료: 백미(국내산)60%, 소맥분(수입산)40% 첨가물: 아스파탐 용량 및 도수: 6% 1.2l 보관방법, 유통기한: 제조일로부터 10도이하에서 10일이 경과하면 변질될 수 있음. 직사광선을 피하고 5도 이하 냉장보관 태안소원근홍합동양조장 충남 태안군 소원면 신덕리 250 041-672-6011 더보기 [충남 논산] 양촌 생 동동주 [충남 논산] 양촌 생 동동주 대둔산 끝자락 조용한 마을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에 작은 양조장. 1920년에 세워져, 90년동안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는 양촌양조장에서는 3대째 이어온 전통의 맛을 지키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진짜 동동주 등장. 시장에 널리고 널린 많은 동동주는 사실 레알동동주가 아니죠. 시장에서는 약간 밀주느낌 나는 막걸리나 약재가 들어간듯한 막걸리를 종종 동동주라 부르곤하는데, 사실 동동주는 탁주가 거의 다 발효되고서 술이 맑게 뜨는데 완전 발효되기 직전즘 쌀알이 약간 동동 떠있는 맑은 술을 의미합니다. 예전에 멋모르고 막걸리를 부어라마셔라할땐 왠지 어감상 동동주가 더 진한 술 같고 그래서 항상 동동주를 주문해마셨는데, 동동주는 항상 찌그러진 양은주전자에 담겨져.. 더보기 [전남 완도] 완도 유자 막걸리 우리나라 유자의 대부분이 완도에서 난다는 사실은 고금양조장 배준현대표님이 말씀해주셔서 알게된 상식. 깔끔하게 떨어지는 술맛과 과하지 않은 유자맛과 향. 마을축제에서 시음회를 열었었는데 남자들보다는 여자들이 좋아하는 맛. 반응도 여자들이 더 열광적. 종류: 탁주 생산지역: 전남 완도 제조사: 고금주조장 원재료: 정제수, 쌀(국내산), 쌀입국(국내산), 유자즙 0.17%(완도산) 첨가물: 효모, 아세설팜 k 용량 및 도수: 750ml 6% 보관방법, 유통기한: 냉장보관 10도이하 / 제조일로부터 20일까지 향: 색: ★ 단맛: ★ 신맛: 쓴맛: 탄산: 목넘김: *색: 맑다(1)~탁하다(5) *단맛 *신맛 *쓴맛: 약하다(1)~강하다(5) *목넘김: 가볍다(1)~무겁다(5) 고금주조장 전남 완도군 고금면 고금.. 더보기 [경북 청송] 청송 주산지 쌀 막걸리 깔끔한 쌀막걸리 종류: 생산지역: 제조사: 원재료: 첨가물: 용량 및 도수: 보관방법, 유통기한: 향: 색: ★ 단맛: ★ 신맛: 쓴맛: 탄산: 목넘김: *색: 맑다(1)~탁하다(5) *단맛 *신맛 *쓴맛: 약하다(1)~강하다(5) *목넘김: 가볍다(1)~무겁다(5) 더보기 [충남 논산] 양촌 생막걸리 양촌주조 라벨은 세계적인 디자인어워드인 레드닷에서 입상한걸로 유명. 사람의 형상을 띈 한글이 막걸리로 인한 화합과 만남 등을 상징하는 스토리가 부여. 부드러운 목넘김, 깔끔한 쌀맛이 어우러진다 종류: 탁주 생산지역: 충남 논산 제조사: 양촌양조 원재료: 쌀 80%(국내산), 소맥분 20%(수입산) 첨가물: 아스파탐 용량 및 도수: 9% 750ml 보관방법, 유통기한: 10도이하 냉장보관시 별도표기 / 세워서 10도 이하 냉장보관 향: 색: ★ 단맛: ★ 신맛: 쓴맛: 탄산: 목넘김: *색: 맑다(1)~탁하다(5) *단맛 *신맛 *쓴맛: 약하다(1)~강하다(5) *목넘김: 가볍다(1)~무겁다(5) 2014/11/06 - [박구주막/우리술 르포] - [충남 논산] 양촌 생 동동주 더보기 [55][인천 연수] 삼양춘 약주 강화섬쌀을 사용한 삼양주, 100일 옹기 숙성.범벅으로 밑술을 빚어 톡쏘는 맛이 일품이고 호남지방의 명주였던 호산춘과 조선시대 서울경기인천 지역 반가의 대중주였던 삼해주의 주조기법을 융합하여 만든 조선시대의 대표 가양주 종류: 약주 생산지역: 인천 송도 제조사: 송도향전통주조 원재료: 찹쌀 70%, 멥쌀 30%, 누룩 첨가물: 용량 및 도수: 500ml, 17% 보관방법, 유통기한: 송도향전통주조인천시 연수구 청학동 청학로23 032-851-8979 더보기 [54][인천 연수] 삼양춘 탁주 강화도 친환경 바다 바람을 먹고 자란 강화섬쌀만을 사용 효모와 자연이 스스로 술을 빚을 수 있도록 100일 동안 천천히 기다립니다 범벅으로 밑술을 빚어 톡쏘는 맛이 일품이고 호남지방 명주였던 호산춘과 조선시대 서울경기인천 지역 반가의 대중주였던 삼해주의 주조기법을 융합하여 만든 조선시대 대표 가양주 삼양주. 세번빚어 담근 프리미엄 탁주. 호산춘 레시피로 빚어진 술이라고 하셨는데, 생각보다 드라이한 맛에 놀람. 상세설명을 보니 호산춘과 삼해주의 방법이 섞였구나. 옹기에서 100일정도 숙성되었으니 시간이 주는 그 가치와 향과 맛이 잘 보존되어 소비자에게도 잘 전달되었으면 하는 바람. 프리미엄급 탁주는 처음에는 맛이 좋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처음의 맛을 잃어가는 것 같다. 부디 끊임없이 처음의 맛을 유.. 더보기 [충남 부여] 앉은뱅이 생 탁주 종류: 생산지역: 제조사: 원재료: 첨가물: 용량 및 도수: 보관방법, 유통기한: 향: 색: ★ 단맛: ★ 신맛: 쓴맛: 탄산: 목넘김: *색: 맑다(1)~탁하다(5) *단맛 *신맛 *쓴맛: 약하다(1)~강하다(5) *목넘김: 가볍다(1)~무겁다(5)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9 다음